와이파이는 알겠는데! 와이파이6E 대체 뭐지? 와이파이6와 다른점
2022년 올해 본격적으로 보급 시작되는 와이파이 6E
그런데 대체 와이파이 6E는 뭐야? 쉽게 이해해보자!
[갓잇코리아 / 송성호 기자] 무선인터넷은 어느순간 우리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네트워킹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비대면 온택트 서비스 확산으로 인터넷 접속은 필수가 되었고 무선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무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와이파이(Wi-Fi)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802.11ax 기술 기반의 와이파이6(Wi-Fi 6)를 축으로 한단계 진보한 와이파이6E(Wi-Fi 6E) 규격의 제품도 본격적으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술과 용어가 쏟아져 나오는 현재, 다수의 언론과 시장에서 ‘와이파이6’와 와이파이6E에 대한 내용이 속속 나오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해당 내용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알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오늘은 ‘와이파이6(Wi-Fi6)와 와이파이6E(Wi-Fi 6E)가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지 간단하게 확인하려 한다.
■ 와이파이는 알겠는데! 와이파이6 / 와이파이6E는 대체 뭔데?
와이파이는 몇년마다 새로운 표준안을 내놓는다. 여러 회원사들이 모여 있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가 시대상황에 따라 와이파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기술을 검토해 업계 표준으로 채택한다. 지난 2018년 10월 802.11ax 기술을 와이파이6(Wi-Fi6)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기로 했으며 이전에 나왔던 802.11ac를 와이파이5(Wi-Fi 5)로 정리했다.
와이파이6(Wi-Fi6 / 이하 802.11ax)는 고밀도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다양화 등에 따라 안정성, 비효율적인 무선 환경 개선 등을 위해 개발되었다. 2.4GHz/5GHz 듀얼 밴드를 사용하는 와이파이 6는 대역폭이 와이파이5보다 넓기 때문에 트래픽 처리 속도가 약 4배 이상 높아졌다. 이론상 Wi-Fi 6는 최대 10Gbps 속도를 지원하며 1Gbps 속도를 더 넓은 커버리지와 낮은 레이턴시로 구현할 수 있다.
와이파이6는 기존보다 더 넓은 대역폭과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지만, 면허 없이 업계에서 공용으로 쓸 수 있는 기존 2.4GHz와 5GHz 주파수 대역이 한정되어 있어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때문에 와이파이6의 목표 전송 속도인 9.6Gbps를 달성하려고 해도 현실적으로 실현하는 장치를 찾기 어렵다.
반면, 와이파이6E(Wi-Fi 6E)는 Wi-Fi6를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여기서 E는 Extension을 나타낸다. Wi-Fi 6E는 무선 연결에 동일한 802.11ax 기술을 사용하지만, 새로운 6GHz를 추가한 트리플밴드를 사용해 대역폭을 크게 확장한다. 이론적으로 낼 수 있는 데이터 전송속도는 9.6Gbps(공유기나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달라짐)로 기존의 와이파이6와 같다.
최대 14개의 추가 80MHz 채널 또는 7개의 추가 160MHz 채널을 사용해 앞으로 나올 4K 스트리밍, VR 등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층 늘어난 채널을 지원해 간섭이 적어 안정적이고 더 많은 기기가 접속하더라도 원활하게 통신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 그렇다면 와이파이 6E 지금 바로 사용가능해?

와이파이6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와이파이6E를 지원하는 공유기와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가 필요하다. 기존의 와이파이6 규격 제품으로는 당연히 와이파이6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도 아이폰13에 와이파이 6E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출시된 시리즈들은 모두 6GHz가 아닌 표준 와이파이 6을 지원했다. 이미 삼성전자는 지난달 출시한 갤럭시S21울트라에 세계 최초 와이파이 6E를 지원했다. 삼성전자는 와이파이 6E가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은 점을 고려해 최상위 모델에서 선제적으로 와이파이 6E를 도입했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가상 현실에 사용되거나 지연 시간이 짧으며 안정성이 높은 4K 또는 8K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강력하고 품질이 뛰어난 연결이 필요한 사물 인터넷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용량 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라우팅 기기가 처리해야할 트래픽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데 트래픽에 대한 처리율을 향상시키는 여러 기술들과 다중 기기의 접속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접속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탑재 되어 있는 점도 특징이다.
다만, 통신 속도 면에서 와이파이6와 와이파이6E는 차이가 없다. 와이파이6E는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한 상태에서 품질 저하가 적다는 것이 최대 강점이다. 소규모 사무실에서 이용한다면 기존 와이파이6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도 있는 점도 고려해야한다. 하지만 정부가 추진중인 지하철 객차 내 와이파이 6E 사용 추진 등은 앞으로 다양한 부분이 바뀔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