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쇼츠! "광고수익 절반 내주겠다" 광고도입으로 틱톡 뛰어 넘을까?

2

[가시 핵심 요약]
‘쇼츠’ 콘텐츠에도 광고 도입! 크리에이터에 수익 45% 지급
새 수익창출방법 발표…’크리에이터 뮤직 프로그램’도 본격 도입
틱톡에 밀린 유튜브의 선택 과연?

 

[갓잇코리아 / 김지혜 기자] 유튜브가 짧은 동영상 서비스인 ‘쇼츠'(Shorts)에 광고를 도입하고 수익금의 45%를 제작자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유튜브의 목표 대상은? 당연 틱톡이다. ‘쇼츠’ 크리에이터에게 수익 창출 기회를 확대해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의 인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TikTok)을 겨냥한 것이다.

 

유튜브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메이드 온 유튜브'(Made on Youtube) 행사를 열고 크리에이터가 짧은 동영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발표했다. ‘쇼츠’는 틱톡에 대항하기 위해 2020년 출시한 15초짜리 동영상 서비스다.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된 이 날 행사에서 유튜브는 ‘쇼츠’에 광고를 도입해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의 45%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틱톡 로고
틱톡 로고

앞서 유튜브는 2007년 동영상에 광고를 삽입하며 수익의 55%를 창작자와 나눠 갖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현재 200만 명에 달한다. 유튜브의 일반 동영상 창작자가 받는 55%의 광고 수익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현재 유튜브가 쇼츠 크리에이터 지원을 위해 운영하는 펀드를 통해 받는 자금에서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서는 2020년 가수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를 시작으로 각종 챌린지가 크게 유행하며, 숏폼 시대가 본격화됐다. 틱톡은 영상 제작과 공유가 쉽다는 장점 덕분에 Z세대(1997~2010년생)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Z세대는 ‘극단적으로 효율을 추구하는 세대’의 특성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즉 짧은 시간 핵심을 파악하고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충족하는 것이 바로 숏폼이다.

 

글로벌 모바일 앱마켓 분석 사이트 데이터.에이아이(data.ai)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유튜브 앱의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안드로이드 폰 기준·중국 제외)은 19.4시간으로 틱톡 앱의 23.6시간에 밀렸다. 틱톡의 1분기 월평균 사용 시간은 2020년 1분기보다 140%, 지난해 1분기보다는 40% 급증한 것으로 유튜브를 넘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튜브 쇼츠 / 구글 출처
유튜브 쇼츠 / 구글 출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