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으로 쏠리는 AI · 로봇 신기술! 망 무임승차 논란도 결론내나...MWC2023

2

유럽으로 쏠리는 AI · 로봇 신기술! 망 무임승차 논란도 결론내나...MWC2023

[기사 핵심 요약]
초거대 AI·로봇에 ‘망 무임승차’ 대격돌 예고…미리보는 MWC 2023
SKT·KT 대표 나란히 MWC행…LGU+ 대표·과기정통부 장관 불참

 

[갓잇코리아 / 송성호 기자]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MWC 2023’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7일부터 사흘간 개최한다. 인공지능과 로봇 등 첨단 기술 전시와 함께, 거대 콘텐츠 사업자의 망 ‘무임승차’ 논란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KT 등 이동통신사는 물론 다수의 스타트업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대회명이 ‘모바일’이긴 하지만,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모든 통신 기술이 접목되는 분야를 전시 대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LG생활건강, 한글과컴퓨터 등 비통신 분야 기업들도 참가한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에 따르면 160여 개국에서 글로벌 통신사를 비롯한 ICT 업체 2천여 곳이 참가한다. 방문객은 8만 명으로 예상된다.

 


■AI와 디지털 혁신! 국내 기업들의 최대 키워드


 

AI와 디지털 혁신! 국내 기업들의 최대 키워드
AI와 디지털 혁신! 국내 기업들의 최대 키워드

내달 2일까지 열리는 MWC에는 전세계 200여개국 2000여개 기업이 참석한다. 전시회 테마는 5G 가속화, 증강·가상현실, 오픈넷, 모든 것의 디지털화, 핀테크 등 총 5가지다. 인공지능(AI), 로봇 등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에 한창인 국내 이통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탈통신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21일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에 따르면 MWC 2023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삼성전자, LG생활건강 등 대기업 5곳과 중소·중견 기업 60곳, 스타트업 65곳이다. 2021년과 2022년 한국 기업이 각각 76곳, 108곳 참가하는 데 그쳤던 것보다 늘어난 규모지만, 팬데믹 이전인 2018년 172곳, 2019년 201곳 참가한 규모에는 미치지 못했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이라는 혁신의 파도가 몰고 올 변화’를 주제로 AI, 도심항공교통(UAM), 6G 등과 관련된 기술을 소개한다. 전시관에서는 △초거대 AI 모델 ‘에이닷’ △로봇·보안·미디어·의료 등에 적용된 ‘비전 AI’ △AI 반도체 ‘사피온’ △로케이션 AI 솔루션 ‘리트머스’ 등을 선보인다.

 

KT는 ‘디지털 시대를 개척하는 DX(디지털 전환) 파트너 디지코(DIGICO) KT’를 주제로 전시관을 운영한다. 전시관 테마는 △DX 플랫폼 △DX 영역 확장 △DX 기술 선도 등 총 3가지다. DX 플랫폼 존에서는 AI 연구 포털 ‘지니랩스’와 AI 반도체 기술, 물류센터 효율화 솔루션, 자율주행 기술 등이 전시된다.

 

MWC의 최대 화두는 ‘망중립성’ 논쟁
MWC의 최대 화두는 ‘망중립성’ 논쟁

 


■ MWC 2023의 최대 화두는 ‘망중립성’ 논쟁


 

넷플릭스·구글 등 글로벌 IT기업의 망 사용료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인터넷 제공 사업자(ISP)와 콘텐츠 사업자(CP) 간 소송이 진행 중인 만큼 대내외 이목도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메타, 넷플릭스, 도이치텔레콤 등 주요 이해 관계자들도 토론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세션에 이종호 장관 등 고위급 인사가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불참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MWC에서 망 사용료 이슈와 관련, 주무부처의 행보에 기대감을 나타내 온 통신업계는 당황한 기색도 보인다. 망 사용료 이슈가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 간 갈등을 계기로 전세계에 확산된 만큼 정부가 통신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해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무산되면서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업계 한 관계자는 “MWC는 전세계 주요 ICT 기업들이 모이는 대규모 행사로, 이 자리에서 망 사용료 이슈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한다는 것은 대다수 국가들이 해당 이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언급했다. 한편, 미·중 관계 악화에 따라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시이에스(CES) 2023’에 참여하지 않았던 중국 기업도 이번 행사에는 유럽에서 열리는 점을 이용해 대거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WC 2023의 최대 화두는 ‘망중립성’ 논쟁
MWC 2023의 최대 화두는 ‘망중립성’ 논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