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PC 출하량 578만대...전체 출하량 4.7% 감소! 4년만에 역성장

2

2022년 국내 PC 출하 전년 대비 4.7% 감소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해 4년 만에 역성장

 

[갓잇코리아 / 송성호 기자] 2022년 국내 PC 시장이 전년 대비 4.7% 감소한 578만대를 출하하며 2018년 이후 4년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일상 회복 여정과 함께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주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가 공개한 국내 PC시장 연구 분석 결과, 2022년 국내 PC시장이 전년 대비 4.7% 감소한 578만대를 출하하며 2018년 이후 4년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특히 2022년 4분기에는 전년 대비 29.7% 급감한 92만대 출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IDC는 2022년 국내 PC시장이 역성장을 나타낸 원인으로 팬데믹 기간동안 PC시장 성장을 이끌어 온 온라인 수업과 재택근무 관련 수요가 상대적으로 약화된 것과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을 꼽았다.

 

세부 시장별로 살펴보면, 가정 시장은 금리 인상, 고물가 및 가계 부채 증가 여파로 전년 대비 15.8% 감소하여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게이밍 수요는 견조하게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함께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하는 울트라슬림 15<18mm 노트북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PC 출하량 578만대...전체 출하량 4.7% 감소! 4년만에 역성장
지난해 국내 PC 출하량 578만대…전체 출하량 4.7% 감소! 4년만에 역성장

공공 시장의 경우 PC 물량의 큰 변동은 없었지만, 망분리 등을 통해 보안을 확보하고 언제 어디서나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 구축에 투자가 증가했다. 면 교육 시장은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사업 전개에 따라 노트북 수요가 전년 대비 1.4배 늘었다.

 

기업 시장의 출하량은 전년 대비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스트 팬데믹으로 접어들면서 재택근무 필요성이 비교적 약화됨에 따라 노트북 수요가 소폭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권상준 한국IDC 이사는 “지난 해 PC 시장이 하락으로 반전됨에 따라 관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어느때보다 사용자 경험 기반의 PC 브랜딩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2년 국내 PC 출하 전년 대비 4.7% 감소
2022년 국내 PC 출하 전년 대비 4.7% 감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