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 기온 변동 매우 컸다! 해외도 역대급 이상 기온
한파 끝나자 깜짝 봄 날씨·하루에 100㎜ 비 이상했던 지난 겨울 날씨
해외도 역대급 이상고온 증가…브라질은 하루 600mm 폭우
[갓잇코리아 / 김지혜 기자] 지난 겨울철(2022년 12월~2023년 2월) 계절 내 기온변동이 매우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12월의 평균기온 하강폭은 11.0도로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컸다. ‘깜짝 봄 날씨’가 찾아왔던 올해 1월 중순에서 설 연휴 막바지이던 1월 하순 사이에는 약 10일 만에 기온이 20도가량 떨어지며 역대급 기온 차가 나타났다.
기상청이 9일 발표한 ‘2022년 겨울철 기후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 겨울 12월부터 올해 1일까지의 기온 변동이 가장 컸다. 다만, 기온은 높고 낮은 날이 큰 폭으로 번갈아 나타나 평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지난 겨울 평균기온은 0.2도로 평년보다 0.3도 낮았다.
■ 따뜻한 겨울(?) 한파 동시에 찾아와
기온 변동은 초겨울부터 시작했다. 찬 대륙고기압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기온은 11월보다 11.0도 떨어지며 1973년 이래 가장 컸다. 추운 날씨가 2주 이상 이어지기도 했다. 1월은 변동 폭이 가장 컸다. 지난 1월13일 평균기온은 9.6도까지 올라갔고, 설 연휴(1월 21~24일) 직후인 25일에는 -10.2도까지 떨어졌다. 1월 중순에서 하순의 평균기온 하강폭은 19.8도로 기상관측이 시작된 1904년 이래 가장 컸다.
한파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던 지난 겨울의 기온 변동은 기후변화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북극에서 고온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찬 공기를 가둔 제트기류가 느려졌고, -50~-30도의 냉기가 중위도까지 내려와 한반도를 얼렸던 것이다.
2월 날씨는 비교적 포근해 한파일수가 0.1일밖에 안돼 역대 가장 적었다. 전국 강수량은 71.6㎜로, 평년의 78.6%에 불과했다. 김정식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감시과장은 “(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저기압이 13개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대부분 북쪽과 남쪽에 치우쳐서 적은 강수 분포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 때아닌 겨울철 호우···남부 가뭄 여전

전국 강수량은 가까스로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겨울철 전국 강수량은 71.6㎜로 평년 대비 78.6% 수준을 보였다. 남부 지역 가뭄이 이어지고 있지만 지난 1월 13일 때아닌 겨울철 호우가 찾아왔기 때문이다. 겨울철 강수량의 40.4%가량은 1월13일 하루에 퍼부었다. 이날 전국 평균 강수량은 28.9㎜가 기록됐고, 경남 거제에는 108.9㎜가 쏟아지는 등 제주도와 남해안에는 매우 많은 비가 내려 호우 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다.
우리나라가 깜짝 봄 날씨와 폭우를 겪는 동안 세계 곳곳에서도 폭우나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났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선 지난 1월27일 24시간만에 249㎜의 비가 쏟아져서 4명이 사망·실종됐고, 지난 2월19일에는 브라질 상파울루주에 600㎜ 넘는 폭우가 내려서 50명 이상이 사망했다.
겨울철 평균기온이 13~15도인 스페인의 기온은 25.1도(빌바오)까지 치솟았고, 스위스 쥐라(20.2도), 폴란드 바르샤바(18.9도) 등도 역대 1월 일 최고기온 기록을 경신했다.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겨울철 기온은 27도(2월23일)까지 치솟아 149년만에 2월 일 최고기온 기록을 경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