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위험 6개월 개발 멈추자던 일론 머스크...X.AI 설립하고 AI 개발 진행

2

美 네바다주에 ‘X.AI’ 세워…AI 인력 확보·GPU 구매
일론 머스크, 대화형 AI ‘TruthGPT’ 독자 개발한다

 

[갓잇코리아 / 송성호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업을 설립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인공지능(AI) 업계 전문가 1000명이 ‘챗GPT’ 등 생성형 AI 개발을 6개월 동안 중단해야한다는 서한에 동의했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머스크 CEO와 애플 공동설립자 스티브 워즈니악,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스튜어트 러셀 버클리 UC버클리 컴퓨터과학과 교수, 이미지 생성 AI 프로그램 개발사 ‘스테이빌리티 AI’의 에마드 모스타퀴 CEO 등은 비영리단체인 미래생명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 이하 FLI)가 주장한 ‘거대한 AI 실험 일시 중지: 공개서한’에 서명했다.

 

FLI은 서한에서 “최첨단 AI는 지구상의 생명 역사에 중대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며 “강력한 AI 시스템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고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만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픈AI가 최근 공개한 AI 모델 GPT-4보다 강력한 AI 개발을 최소 6개월 간 즉시 중단할 것으로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이 서한에 담긴 서명 일부가 가짜로 드러나 논란이 됐고, 업계 일각에서는 머스크가 오픈AI의 성장을 견제하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최근 오픈AI가 출시한 ‘GPT-4’는 이전 모델인 GPT-3의 개량형으로 이달 공개돼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밖에 구글은 ‘바드’, 바이두는 ‘어니봇’를 내놓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들이 AI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이번 서명이 AI 주도권을 가진 오픈AI와 이를 따라잡으려는 구글과 기타 AI 업체들의 신경전으로 본다. 오픈AI의 개발을 중지시키고 그 사이 몰래 개발에 몰두해 빠르게 추격하려는 음모라는 것이다. 해당 서명엔 구글과 구글의 딥마인드, 메타, 스테이블AI 같은 업체의 관계자 서명은 있지만, 오픈AI 관계자의 서명은 없다.

Ai 위험 6개월 개발 멈추자던 일론 머스크...X.AI 설립하고 AI 개발 진행
Ai 위험 6개월 개발 멈추자던 일론 머스크…X.AI 설립하고 AI 개발 진행

머스크는 2015년 오픈AI 공동창업자이자 한때 재정적인 후원자로, 수년간 10억달러(약 1조3천억원)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2018년 AI 연구 방향을 놓고 갈등이 생기며, 이사진에서 물러나고 투자 역시 중단했다. AI 시스템 개발 6대월 중단을 주장하고 있는 일론머스크는 지난달 그의 가족 재산 관리인 재러드 버챌과 미국 네바다주에 ‘X.AI’ 법인을 설립했다. 해당 회사가 오픈AI에 맞서기 위한 AI 개발 회사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1일에는 머스크가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개를 구입해 AI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형성했다. AI 개발을 일시 중단하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머스크. 그런데 AI 사업에 활용할 목적으로 예상되는 GPU 투자는 보면서 그가 이런 주장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관심이 집중된다. 한편, 일론머스크는 대화형 AI(인공지능)을 독자적으로 개발한다고 17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FOX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AI 개발에서 앞선 구글과 대화형 AI ‘ChatGPT’를 개발한 신흥 ‘오픈 AI’를 염두에 둔 듯 “시작이 늦었지만 제3의 선택지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직접 개발할 AI에 대해 ‘TruthGPT’라고 부르며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AI를 개발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AI는 인간을 멸종시킬 가능성이 적고, 안전에 대한 최선의 길일지도 모른다며 정당성을 주장했다.

 

구글 -> MS 검색엔진 사업 주도권 바뀌나...NYT "삼성 구글 대신 빙 사용 검토"
구글 -> MS 검색엔진 사업 주도권 바뀌나…NYT “삼성 구글 대신 빙 사용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