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AI GPU 점유율 시장 흔드나? 80%이상 점유율 엔비디아에 도전장

2

AMD, AI GPU 점유율 시장 흔드나? 80%이상 점유율 엔비디아에 도전장

AMD, 인공지능 GPU 선보이며 엔비디아에 도전장
올해 말 출시 예정, 엔비디아 가격 압박 받을 듯

 

[갓잇코리아 / 조가영 기자] 종합 반도체 기업 AMD가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엔비디아 추격’에 나선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세계 AI용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 점유율이 90%에 달하는 상황에서 AMD가 이를 추격하고 나선 것. AMD는 13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 앤드 AI 테크놀로지 프리미어’ 행사를 열고 생성형 AI 가속기 ‘인스팅트 MI300X’를 공개했다.

 

그래픽처리장치는 컴퓨터 그래픽을 빠른 속도로 처리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여러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병렬 처리에 특화되어 있어 대규모 언어 처리나 기계 학습에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를 개발한 오픈에이아이 등이 대규모 언어모델(LLM) 같은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 상황. 엔디비아는 인공지능용 그래픽처리장치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다.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는 “MI300X, Mi300A가 기술 기업이 Chat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메모리가 많을수록 칩이 처리할 수 있는 모델 세트가 더 커지는데, 고객 작업량에서 훨씬 더 빠르게 실행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다만, AMD는 어떤 업체가 MI300X를 채택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AMD, 인공지능 GPU 선보이며 엔비디아에 도전장
AMD, 인공지능 GPU 선보이며 엔비디아에 도전장

 


■ AMD AI GPU 시장 균열 일으키나? 아마존 엔비디아 대신 AMD 고려


 

올해 말 출시 예정, 엔비디아 가격 압박 받을 듯
올해 말 출시 예정, 엔비디아 가격 압박 받을 듯

GPU(그래픽처리장치) 구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서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 GPU를 지금 주문한다 해도 받는데 최소 6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 AWS(아마존웹서비스)가 엔비디아의 대항마로 부상한 AMD의 새로운 AI 칩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브라운 부사장은 “AWS와 AMD 사이에 정확히 어떤 지점에서 협력할지는 아직 논의 중이지만 현재 협의를 하고 있다”면서 “기존 시스템에 연결되는 설계와 관련해 AMD의 기술을 일부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GPU 수요가 공급을 앞선 상황에서 AWS,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은 GPU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AMD는 자체 AI GPU를 출시하면서 8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를 흔들겠다는 전략인 것으로 보인다.

 

MI300X는 차세대 AMD CDNA 가속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최대 192GB의 HBM3 메모리를 지원한다. 팔콘40처럼 매개변수가 400억개인 언어 모델을 하나의 MI300X 가속기에 장착할 수 있다. 반면 H100은 120GB의 메모리만 지원한다. 생성형 AI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큰 메모리를 지원한다는 건 유리하다. AMD는 MI300X의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엔비디아가 시장 지배자임을 고려하면 H100보다 낮은 가격을 책정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번에 공개한 AMD의 새로운 칩 MI300X는 3분기부터 주요 고객에 샘플로 전달될 예정이다. AMD는 MI300X의 고객사를 밝히지 않았다. 단, 이번 행사를 열면서 아마존웹서비스(AWS), 시타델, 허깅페이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에저, 파이토치 등의 기존 협력사와 함께 무대에 올라 기술 파트너십을 선보였다.

 

AMD AI GPU 시장 균열 일으키나? 아마존 엔비디아 대신 AMD 고려
AMD AI GPU 시장 균열 일으키나? 아마존 엔비디아 대신 AMD 고려
댓글